반응형 자모1 📚 한글 창제 원리 와 훈민정음 해례본, 자음, 모음, 조합 세종은 "백성이 말하고자 해도 글이 없어 표현하지 못함을 슬퍼했다"며 쉽고 누구나 배울 수 있는 문자 체계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것이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문에 그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자음 창제 원리 (상형 원리)자음은 사람의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기본 글자 5개(ㄱ, ㄴ, ㅁ, ㅅ, ㅇ)는 각각 다음을 형상화했습니다.기본 자음상징한 발음기관설명ㄱ혀뿌리목구멍 뒤쪽에서 소리냄ㄴ혀끝혀끝이 윗잇몸에 닿음ㅁ입술입술을 다물고 발음ㅅ이이의 모양을 본뜸ㅇ목구멍아무 소리 안 나는 상태, 공기의 흐름이 다섯 자음에서 점이나 획을 추가해 나머지 자음들을 만들었습니다.예:ㅋ = ㄱ + ㅎ 같은 숨소리 → 좀 더 강한 발음ㄷ = ㄴ에 획 추가 → 혀끝을 더 세게 침이러한 방식은 **‘가획(加劃) 원리’*.. 2025. 4.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