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눈 정선의 진경산수화, 여행과 사생의 화가, 한국 회화의 정체성과 미의식
**정선(鄭敾, 1676~1759)**은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의 창시자로,자연을 이상화한 중국식 산수화를 넘어, **조선의 실제 풍경을 그려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확립한 인물이다.그는 서울, 금강산, 인왕산, 한강 등 우리 강산의 아름다움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담았고,자연과 현실을 있는 그대로 화폭에 옮기며 한국 회화의 독립적 정체성을 만들어냈다.2024년의 시점에서 정선을 다시 읽는다는 것은,단지 화가 한 사람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인의 시선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감각과 정신을 복원하는 일이다. 진경산수화의 개척 – 이상이 아닌 현실을 그리다정선은 당대 화단의 주류였던 남종화와 북종화의 문인화 전통을 따르면서도,그 경계를 넘어 실제 풍경을 직접 관찰하고 묘사하는 새로운 시도를 시작했다.이는..
2025. 4. 4.
김종서의 북방 개척, 정치적 활동, 계유정난
김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는 조선 초기, 특히 태종, 세종, 문종, 그리고 단종 시대에 걸쳐 문무를 겸비한 탁월한 능력으로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위대한 인물입니다. 고려 왕조의 멸망과 조선 왕조의 건국이라는 격변기를 거쳐 왕조의 기틀이 다져지던 시기에 태어난 그는, 새로운 국가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특히 세종대왕 시대에는 북방 개척을 통해 조선의 영토를 확장하고 국경을 안정화시키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워 국방 강화에 기여했으며, 문관으로서도 뛰어난 학문과 행정 능력을 발휘하여 국가 정책 수립과 역사 편찬 사업에 참여했습니다. 문종 사후 어린 왕 단종이 즉위하자, 김종서는 황보인 등 다른 원로대신들과 함께 단종을 충실히 보필하며..
2025. 4. 3.